카테고리 없음

사주명리 형살 정리: 지세지형(持勢之刑), 무은지형(無恩之刑), 무례지형(無禮之刑), 자형(自刑)

무진-A-to-Z 2023. 3. 12. 23:04

 

사주명리 형살(刑殺) 정리

사주명리학에서 형(形)은 형살(形殺)이라고도 한다.  둘 이상의 지지 사이에 벌어지는 일, 모양을 뜻하는데 좋은 일로 작용할수도 나쁜 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형(形)은 삼형(三形), 상형(相形), 자형(自形) 등으로 나뉘며, 삼형(三形)에는 지세지형과 무은지형 등이 있다.  

 


대체적으로 형(形)에 대하여 불길하거나 나쁜 의미의 내용이 많지만, 전체 사주의 일부일 뿐이며, 다른 길한 기운들이 있으면 길조로 변하거나 나쁜 것들을 상쇄할 수 있다. 

때문에, 자신의 사주에 형(形)이 있다고 하여 나쁘게만 판단할 필요는 없다. 형(形)이 미치는 영향이 매우 미비하기 때문에 큰 의미를 둘 필요가 없다는 명리학자들도 있다.)  

 

지세지형(持勢之刑), 무은지형(無恩之刑), 무례지형(無禮之刑), 자형(自刑)

 

 

1. 지세지형(持勢之刑)

지세지형은 지나치게 자기중심적인 성격 때문에 형액을 만난다고 한다. 의욕이 넘치고, 성격이 급하여 앞뒤를 재지 않고 일을 했다가 망치기 일수이다. 자기가 최고라는 생각으로 다른 사람을 하대하며 일을 서두르다 일을 망쳐 후회할 수 있다.  

 

지세지형(持勢之刑)이 있는 사람은 사주 지지에 인사신(寅巳申) 간의 관계에서 벌어지는 형으로 인사(寅巳), 사신(巳申), 인신(寅申)과 같이 두 글마만 만나도 형이 작용한다. 인사신(寅巳申) 세 글자가 모이면  모이면 삼형이 이루어져 더 강하게 작용한다. 

2. 무은지형(無恩之刑)

무은지형은 말 그대로 은혜를 원수로 갚는 형이다. 정이 없고 냉혹한 성격이라고 할 수 있다. 

무은지형(無恩之刑)은 축술미(丑戌未) 간의 관계에서 벌어진다. 지세지형(持勢之刑)과 마찬가지로 축술(丑戌), 술미(戌未), 축미(丑未) 두 글자만 있어도 형이 이루어진다고 보며,  축술미(丑戌未) 세 글자로 이루어지면 무은지형은 더 강하게 작용된다.

 

3. 무례지형(無禮之刑)

무례지형(無禮之刑)은 성격이 포악하여 법적·윤리적 문제를 낸다고 본다. 예(禮)가 없다는 것인데, 자(子)와 묘(卯)로 이루어져 있어 자묘(子卯)형 또는 상형(相形)이라고도 한다. 

 

4. 자형(自刑)

자형(自刑)은 같은 지지가 나란히 있어서 스스로를 형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지지에 진오유해(辰午酉亥)가 각각 병존하여 있는 것을 말하며, 진진(辰辰)형, 오오(午午)형, 유유(酉酉)형, 해해(亥亥)형이 있다. 

 

  • 진진(辰辰)형: 이기적이고 고집이 셈
  • 오오(午午)형: 다혈질, 인내심이 적고 배려가 없음
  • 유유(酉酉)형: 염세적, 독설가로 신경질적임
  • 해해(亥亥)형: 게으르며 우울·고독하여 타인 의존성 강함

 

형(形) 지세지형(持勢之刑), 무은지형(無恩之刑), 무례지형(無禮之刑), 자형(自刑)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주 또는 대운, 세운 등에 형이 왔다고 해서 너무 걱정할 필요가 없는 것이 많은 사람들이 형을 가지고 있으며, 운에서 형을 이루며 살고 있다. 

 

앞서도 말했듯이, 사주를 판단할 때 형(形)은 일부에 불과하지 않으며, 그것을 상쇄하고 길한 작용으로 만드는 다른 기운들이 있는지를 잘 따져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