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害)란 지지의 변화와 변동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신살인 형충파해(形沖破害) 중에 하나인데
한자의 뜻 그대로 해친다는 의미를 갖는다.
충(沖)과 형(形)보다는 영향이 적다고 보며, 사주를 볼때 참조만 하는 정도로 쓰이는 것이 해(害)이다.
해(害)는 일반적으로 해살(害殺) 또는 육합(六合)을 해친다 하여 육해(六害)라고도 불린다.
사주명리, 지지 합(合)을 방해하는 신살 해(害)
해(六害)의 종류가 자미(子未), 축오(丑午), 인사(寅巳), 묘진(卯辰), 신해(申亥), 유술(酉戌)로,
육합(六合) 자축(子丑), 인해(寅亥), 묘술(卯戌), 진유(辰酉), 사신(巳申), 오미(午未)인 것을 보면
왜 육해(六害)라 하는지 알수 있다.
즉, 육합(六合)의 한 글자가 충하는 글자를 만나 만남을 방해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주에 해(害)가 있으면 가족이 아플 수 있으며,
일지와 시지에 해가 있으면 장년·노년에 잔병치레를 하게 된다고 본다.
해(害)의 작용
사주 내에 해(害) 자체만으로 보면 그 작용이 미미하다고 보나,
자미와 축오의 경우 부정, 재앙, 이별을 관장하는 흉신인 원진살(元辰殺)과 함께 이루어지며,
인사(寅巳)는 형살(形殺)과 함께 나타나게 되어 작용이 일어나게 됨을 유의해야 한다.
형살(形殺)에 대한 부분은 이전 내용을 참고하면된다.
또한, 묘진(卯辰)과 유술(酉戌)의 경우 육합(六合)을 방해하나
방위 반합(半合)을 이루기 때문에 이에 따른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
관련 포스티 보기
사주명리 형살 정리: 지세지형(持勢之刑), 무은지형(無恩之刑), 무례지형(無禮之刑), 자형(自刑)
사주명리 형살(刑殺) 정리 사주명리학에서 형(形)은 형살(形殺)이라고도 한다. 둘 이상의 지지 사이에 벌어지는 일, 모양을 뜻하는데 좋은 일로 작용할수도 나쁜 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muzin-a2z.b-logy.com
사주명리, 관계에 균열이 일어난다는 파(破) 정리
사주명리에서 파(破)란 두 지지가 서로의 작용을 파괴하며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 파가 구성되면 내적 갈등이 발생하고, 절망감이 들기 쉽다. 충이나 형보다 영향력이 적다고 알려져 있으나, 진
muzin-a2z.b-logy.com
'사주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명리학 기초공부: 천간(天干)의 합(合)과 극(剋) (0) | 2023.03.18 |
---|---|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1 갑목(甲木), 을목(乙木) (0) | 2023.03.17 |
무료 만세력(사주달력) 다운로드 없이 볼수 있는 곳 (0) | 2023.03.14 |
천간과 지지에서 음양오행 찾기 (0) | 2023.02.03 |
오행의 상징과 상생·상극 (1) | 2023.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