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음양의 특성과 오행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다. 음양에서 양은 태양·적극적·여름·남자· 등을 음은 태음·소극적·겨울·여자 등을 상징한다고 하였다. 또한, 오행은 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를 뜻하며 각각의 성격을 알아보았다.
이번 시간에는 오행의 상징과 상생·상극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음양의 특성이 있듯이 오행에도 각각의 특성과 가리키는 상징이 있다. 또한, 음양 두가지가 서로 조화를 이루듯이, 오행도 서로 생하고 극하며 조화를 이룬다. 이러한 부분을 이번 시간에 알아보고자 한다.
오행의 상징과 특성
먼저 오행의 상징과 특성이다.
1. 목(木) 상징과 특성
- 목(木)은 계절로는 봄을 가리킨다. 시간으로는 아침이며 방향은 동쪽이다. 색상으로는 청색으로, 2014년이 갑오년이었는데, 청마의 해라고도 하였다. 2014년이 청마의 해인 이유가 갑(甲)이 목(木)을 상징하기 때문에 목의 색깔인 청색 즉, 청마의 해라고 말하는 것이다.
- 목의 기운은 기본적으로 착하고 어질다 하여 인(仁)을 기본성격으로 갖는다. 따라서 목의 기운이 많을 경우 명예지향적이며, 단점으로는 자기 의견을 굽히려 하지 않는 점이 있다.
2. 화(火) 상징과 특성
- 화(火)는 계절로는 여름이며, 낮 시간을 말한다. 방향은 남쪽을 가리키며, 색상은 적색이다.
- 화는 예의 바르고 적극적이다고 하여 예(禮)를 기본성격으로 갖는다. 화의 기운이 많을 경우 의사표현이 명확하며, 다혈질이다.
3. 토(土) 상징과 특성
- 토(土)는 환절기이며 시간은 밤에서 아침으로, 아침에서 낮으로, 낮에서 저녁으로, 저녁에서 밤으로 변화하는 사이 시간을 가리킨다. 방향은 중앙이며, 색상은 황색을 상징한다.
- 토는 믿음직스럽고 끈기있다고 하여 신(信)을 기본성격으로 갖는다. 토의 기운이 많을 때 끈기가 있으며 고집이 세다고 한다.
4. 금(金) 상징과 특성
- 금(金)는 계절로는 가을이며, 저녁 시간을 가리킨다. 방향으로는 서쪽이며, 백색을 상징한다.
- 금은 의리가 있고 절제력이 있다 하여 의(義)를 기본성격으로 한다. 비판정신이 강하며 잔소리가 심하다.
5. 수(水) 상징과 특성
- 수(水)는 계절로는 겨울이며 밤을 가리킨다. 방향은 북쪽이며 흑색을 상징한다.
- 수는 총명하고 지혜롭다 하여 지(智)를 기본성격으로 하며, 타인에 대한 배려가 깊지만 생각이 많다는 성격을 갖는다.
오행의 상생·상극
다음은 오행의 상생과 상극에 대해 알아보자. 상생에서 생은 서로를 돕는다는 말이며, 극은 그 기운을 억누른다는 의미이다. 오행 목·화·토·금·수는 서로를 상생·상극하며 조화를 이룬다. 먼저 상생과 상극을 하나로 표현한 그림이다.
목생화(木生火) → 화생토(火生土) → 토생금(土生金) → 금생수(金生水) → 수생목(水生木)
위와 같이 생하며 조화를 이루게 된다. 이를 풀어보면,
1. 목(木)은 자신을 불태워 화(火)를 생한다.
2. 화(火)는 다 타면 재가 되어 흙으로 돌아가 토(土)를 생한다.
3. 토(土)는 땅 속에서 흙이 굳어져 금속이 되어 금(金)을 생한다.
4. 금(金)은 바위 속에서 물이 나와 수(水)를 생한다.
5. 수(水)는 물이 나무에 양분을 주어 목(木)을 생한다.
오행 간 서로를 생하는 것들이 있다면, 반대로 서로를 극하는 오행이 있다.
목극토(木剋土) → 토극수(土剋水) → 수극화(水剋火) → 화극금(火剋金) → 금극목(金剋木)
1. 목(木)은 나무의 뿌리가 흙을 붙잡아 두어 토(土)를 극한다.
2. 토(土)는 흙이 물을 가두어 수(水)를 극한다.
3. 수(水)는 물이 불을 꺼버려 화(火)를 극한다.
4. 화(火)는 불은 쇠를 녹여 금(金)을 극한다.
5. 금(金)은 도끼로 나무를 베어버려 목(木)을 극한다.
위 처럼 오행은 서로를 극하기도 한다.
오행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는 서로 상생과 상극을 끊임없이 하며 조화를 이루게 된다.
사주명리학에서 오행이 서로를 돕기 때문에 좋고 서로를 억누르기 때문에 나쁘다고 해석하는 것은 옳지 않다.
과유불급이라고하여 자신의 사주에 오행 중 특정 기운많 많다고 좋은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기운을 억누르는 오행이 있다면 반드시 도움이 될 것이며, 반대로 모자란 기운이 있다면 이를 생하는 오행이 있다면 그 기운의 성질을 좀더 갖게 되기 때문이다.
관련 포스팅 바로가기
사주명리학, 음양(陰陽)과 오행(五行)
사주명리학에서 말하는 음양(陰陽)과 오행(五行)에 대하여 얘기해보고자 한다. 사주명리학은 음양오행을 기본 바탕으로 한다는 것을 지난 포스팅에서 말한바 있다. 때문에, 음양과 오행에 대해
muzin-a2z.tistory.com
사주명리학, 사주팔자에 담긴 의미
명리학이란 사주에 근거하여 사람의 길흉화복을 알아보는 학문으로, 사람이 태어난 연·월·일·시 4가지 간지를 통해 길흉화복(吉凶禍福)을 알아보는 것을 말한다. 사주명리학이라고도 하는데,
muzin-a2z.tistory.com
'사주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명리, 지지 합(合)을 방해하는 신살 해(害) (0) | 2023.03.17 |
---|---|
무료 만세력(사주달력) 다운로드 없이 볼수 있는 곳 (0) | 2023.03.14 |
천간과 지지에서 음양오행 찾기 (0) | 2023.02.03 |
사주명리학, 음양(陰陽)과 오행(五行) (1) | 2023.01.27 |
사주명리학, 사주팔자에 담긴 의미 (2) | 2023.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