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학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3 무토(戊土), 기토(己土)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3 무토(戊土), 기토(己土)

 

천간 10글자 중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글자인 무(戊)와 기(己)의 성격과 심리에 대해 알아보자. 
모두 토(土)의 기운을 가지고 있으나 무(戊)는 양(陽)의 기운을

기(己)는 음(陰)의 기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성격과 심리를 보인다. 


특히, 계절적으로 무토(戊土)는 양(陽)을 상징하는 봄과 여름의 끝을,

기토(己土)는 음(陰)의 특성이 강한 가을과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기운이기도 하다. 

 

#3 무토(戊土), 기토(己土)에서 나타나는 성격과 심리

 

1. 무토(戊土)

 

무(戊)는 천간(天干)의 다섯 번째에 해당하는 글자이며,

음양으로는 양(陽)이고 오행으로는 토(土), 계절로는 늦여름의 특성을 갖는다. 
무토(戊土)는 넓은 대지라고 볼 수 있는데, 좌우로 끊임없이 퍼져나가는 기운이 무토의 본질이라고 본다.  

 

넓은 대지를 모두 관장하려는 것이 무토이기 때문에 만물에 관심이 많고

대인 관계를 계속해서 확장하려는 기질이 있다 .
하지만 계속해서 영역을 확장하려고 하는 반면에 기존의 나의 것, 즉, 가까운 것에 소홀한면이 있다. 

 

얕고 넓은 지식을 가진 사람이 무토의 기질을 가진 사람이라고 볼 수 있다. 

 

사방으로 확장하려는 성향이 있어 강한 추진력과 행동력을 보이며,

그로 인한 포용력과 리더십이 있다. 


하지만, 일단 마음 먹은 일은 행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는 강압적이고 면을 보이게 된다. 

 

무토(戊土)의 성격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1) 장점

 - 중후하고 흔들림 없으며 타인들을 포용하고 통솔력이 있다.  
 - 목표한 것이 있으면 꾸준하게 밀고 나가는 타입으로 믿음직스럽다.
 -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이 있고, 행동력과 추진력이 있다.  

 

2) 단점

 - 자기 주관이 너무 강하고 고집불통인 면이 있다. 
 - 가까운 것에 소홀하다. 
 - 자기 과시와 자만심에 빠져 공상에 사로잡히는 경우도 있다.

 

 

2. 기토(己土)

 

기(己)는 천간 글자 중 여섯 번째에 해당하는 글자로

음양으로는 음(陰), 오행은 토(土), 계절은 초가을에 해당한다. 
기토(己土)는 한 눈에 볼 수 있는 좁은 땅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만큼 관리가 잘된 영토라고 할 수 있다. 

 

무토(戊土)가 영역을 계속 확장하려 했다면

기토(己土)는 확장된 영역을 끌어 모아 더 든든하게 만드는 기질이 있다.

 

기토는 기본적으로 자신의 영역만을 관리하고자 하기 때문에 배포가 작은편이다.

하지만, 자신의 영역에 대한 관리가 철저하기 때문에,

가족과 마음을 연 친구들에게 많은 에너지를 쏟아 붙는 것이 기토의 사람이다. 

 

또한, 주어진 영역을 가지고 살아가야하기 때문에 실속을 챙기려고 하며,

융통성이 있어 소규모 집단의 리더십이 있다. 

 

기토는 자신의 영역 관리가 철저하다.

즉, 자기관리가 철저하며 꾸준히 성장해나가는 타입이며 늘 인정받기를 원한다.

하지만, 이러한 모습이 주변 사람들로부터 이기적으로 비칠수도 있다. 

 

기토(己土)의 성격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1) 장점

 - 주관이 강하고 끈기와 추진력이 있다.  
 - 계획적이고 치밀하여 자기 관리에 능숙하다.
 - 언어능력이 좋고, 대인관계가 무난하고 순응을 잘한다.

 

2) 단점

 - 순간적인 대처능력이 떨어진다. 
 - 타인의 억압이나 강압에 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적응하지 못한다. 
 - 자기 중심적이고 이기적인 면이 있다. 

 

무(戊)와 기(己)가 갖는 성격과 심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갑을(甲乙)과 병정(丙丁)에 대한 성격과 심리가 궁금한 사람은 이전의 포스팅을 참고하면 되며,

다음에는 나머지 천간 글자인 경(庚), 신(辛)과 임(壬), 계(癸)에 대해 알아보겠다.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이전글 보기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2 병화(丙火), 정화(丁火)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2 병화(丙火), 정화(丁火) 천간 10글자 중 세번째와 네번째 글자인 병(丙), 정(丁)의 성격과 심리에 대해 알아보자. 모두 화(火)의 기운을 가지고 있으나 병(丙)은 양

muzin-a2z.b-logy.com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1 갑목(甲木), 을목(乙木)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1 갑목(甲木), 을목(乙木) 사주명리학에서 천간(天干)에 따른 성격과 심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첫 번째 시간으로 갑(甲)과 을(乙)의 성격을 보려고 하는데, 천

muzin-a2z.b-log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