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학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셩격과 심리 #4 경금(庚金), 신금(辛金)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셩격과 심리 #4 경금(庚金), 신금(辛金)


천간 10글자 중 일곱번째와 여덟번째 글자인 경(庚)과 신(辛)의 성격과 심리에 대해 알아보자. 

 

모두 금(金)의 기운을 가지고 있으나 경(庚)은 양(陽)의 기운을 

신(辛)는 음(陰)의 기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성격과 심리를 보인다. 

 

 

#4 경금(庚金)과 신금(辛金)의 성격과 심리

 

1. 경금(庚金)

 

경(庚)은 천간(天干)의 일곱번째에 해당하는 글자이며,

음양으로는 양(陽)이고 오행으로는 금(金), 계절로는 완연한 가을의 특성을 갖는다. 


경금(庚金)은 "강철"이나 "큰 바위"라고 볼 수 있는데, 

기토(己土)에서 대지를 끌어모으는 단계였다면,

경금(庚金)에서 끌어모은 대지가 더 단단해져 바위나 강철이 되는 양상으로 이해하면 될듯하다. 

 

경금(庚金)은 "강철"이나 "큰 바위" 처럼 뚜렷한 모습을 갖추었기 때문에

주체성이 매우 강한 기운이다. 혼자 있어도 불안을 느끼지 않으며 자신을 일관되게 유지한다. 
특히, 주체성이 신체와 관련이 깊다고 보는데, 실제로 경금(庚金)을 갖은 사람 중 운동선수가 많다. 

 

주체성이 강하여 맺고 끈는 것이 확실하며, 내것과 아닌것, 적과 아군 등의 구분이 명확하다. 


또한, 자신이 주어진 임무는 끝까지 완수하고자 하며, 약속을 하면 손해를 보더라도 이행하는 경향이 있다. 

 

다만, 주체성이 강한 만큼 그에 따른 반작용이 크게 나타나는데,

한번 실패를 맞보게 되면 다시 일어나기가 그만큼 어려워 지는 것이 경금(庚金)이다. 

 

경금(庚金)의 성격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1) 장점

 - 원리원칙을 중시하고 계획성이 탁월하여, 마음먹은 일에 대한 결단력과 추진력이 있다. 있다. 
 - 성실하고 정의감이 강하며 일처리가 완벽하다.  
 - 머리가 총명하고 자신의 능력에 대하여 확신이 있고 자긍심이 있다.

 

2) 단점

 - 자기 중심적이고 융통성이 부족하여, 생각대로 되지 않으면 스트레스가 심하다. 
 - 타인의 의견을 무시하고 독선적이며 비타협적이다. 
 - 따지기를 좋아하고 주면 사람을 피곤하게 한다. 

 

 

2. 신금(辛金)

 

신(辛)은 천간 글자 중 여덟번째에 해당하는 글자로 음양으로는 음(陰),

오행은 금(金), 계절은 늦가을에 해당한다. 
신금(辛金)은 "예리한 칼"이나 "보석"이라고 비유할 수 있는데, 

경금에서 더 응축하여 날카로운 기운을 갖는다.  

 

경금과 신금(辛金)은 주체성이 강하다는 면에서 비슷하지만,

경금은 형상을 이루며 외적으로 보이는 주체성이라고 한다면

신금(辛金)은 더욱 응축하여 내적으로 강한 주체성을 갖은 기운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신금(辛金)은 꼼꼼하고 섬세하며, 침착하게 일을 처리한다.

내면이 더욱 단단하기 때문에 섬세한 면이 특히 강한데
계획을 잡고 추진을 할때도 세심하고 꼼꼼한 모습을 보인다.

 

다만, 음적인 기질이 있기 때문에 경금에 비해 소극적이며 스케일이 작다는 특성이 있다. 

 

신금(辛金)은 내면이 단단한 만큼 세밀하며 과정을 중요시 한다.

다만, 이러한 과정에서 본인과 주변사람들이 피곤해질 수 있다.

또한, 남의 실수를 용납하지 못하며 잔소리가 있는 것이 신금(辛金)이다. 
 

신금(辛金)의 성격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1) 장점

 - 생각이 깊고 안정적이며 꼼꼼하여 논리적인 면이 있다. 
 - 원리원칙을 중요시 하며 계획적이다. 
 - 총명하고 명석하여 냉철한 판단력을 갖고 맺고 끈는 것이 확실하다. 

 

2) 단점

 - 예민하고 섬세하여, 남의 실수를 용납 못하며 잔소리가 심하다. 
 - 자기 주관적이고 자기 중심적인 성격이며 양보심이 부족하다. 
 - 냉소적이고 부정적인 성격으로 타인에 대해 비판적이다.

 

경(庚)와 신(辛)이 갖는 성격과 심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갑을(甲乙)과 병정(丙丁), 무기(戊己)에 대한 성격과 심리가 궁금한 사람은 이전 글을을 참고하면 된다.

 

다음에는 천간의 마지막 글자 임(壬), 계(癸)의 성격과 심리에 대해 알아보겠다.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성격과 심리" 이전 글 보러가기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3 무토(戊土), 기토(己土)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3 무토(戊土), 기토(己土) 천간 10글자 중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글자인 무(戊)와 기(己)의 성격과 심리에 대해 알아보자. 모두 토(土)의 기운을 가지고 있으나 무(戊

muzin-a2z.b-logy.com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2 병화(丙火), 정화(丁火)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2 병화(丙火), 정화(丁火) 천간 10글자 중 세번째와 네번째 글자인 병(丙), 정(丁)의 성격과 심리에 대해 알아보자. 모두 화(火)의 기운을 가지고 있으나 병(丙)은 양

muzin-a2z.b-logy.com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1 갑목(甲木), 을목(乙木)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1 갑목(甲木), 을목(乙木) 사주명리학에서 천간(天干)에 따른 성격과 심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첫 번째 시간으로 갑(甲)과 을(乙)의 성격을 보려고 하는데, 천

muzin-a2z.b-log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