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셩격과 심리 #5 임수(壬水), 계수(癸水)
천간 10글자 중 아홉번째와 열번째 글자인 임(壬)과 계(癸)의 성격과 심리에 대해 알아보자.
천간 10글자의 성격과 심리 마지막 시간으로 지난 시간과 마찬가지로
임(壬)과 계(癸)는 모두 수(水)의 기운을 가지고 있으나
양(陽)과 음(陰)의 기운을 각각 다르게 가지고 있어 다른 성격과 심리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5 임수(壬水)와 계수(癸水)의 성격과 심리
1. 임수(壬水)
임(壬)은 천간(天干)의 아홉번째에 해당하는 글자이며,
음양으로는 양(陽)이고 오행으로는 수(水), 계절로는 초겨울을 상징한다.
임수(壬水)는 물상적으로 "바다"라고 표현할 수 있는데,
신금(辛金)에서 응축되었던 기운이 임수(壬水)로 들어서면서 해체되는 형상이다.
때문에, 임수(壬水)는 넉넉함과 너그로움, 포용성이 있다.
사람들을 모으고, 책을 사 모으고, 정보를 모아서 끌어안는 등 임수의 포용력은 다양하게 나타난다.
무토(戊土)가 보이는 것을 자신의 영토에 담아내는 확장의 포용력이라고 한다면
임수(壬水)는 그것을 받아들이고 교감하여 자신의 편으로 만드는 힘이다.
하지만, 임수(壬水)가 "바다" 처럼 넓은 포용력을 갖고 있으나, 깊은 관계는 그렇게 좋아하지 않는다.
물이 끊임없이 흐르는 것처럼 한 곳에 얽매이지 않기 때문이다.
임수(壬水)의 성격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1) 장점
- 아이디어가 탁월하고, 두뇌 회전이 빠르고 총명하며, 기획력이 뛰어나다.
- 마음이 넓어 포용력이 있고 대범하다.
- 부지런하고 실천적이며 매우 활동적이다.
2) 단점
- 많은 사람과의 깊은 관계를 갖는 것을 싫어한다.
- 쓸데없는 걱정이 많으며 참을성이 부족하다.
- 일을 잘 저지르고, 시작은 잘하지만 끝마무리가 약하다.
2. 계수(癸水)
계(癸)는 천간 글자 중 열번째에 해당하는 글자로
음양으로는 음(陰), 오행은 수(水), 계절은 늦겨울에 해당한다.
계수(癸水)는 널리 퍼져 만물에 감싸는 기운이라고 할 수 있는데, "안개"라 표현한다.
계수(癸水)는 천간의 열번째 글자로 갑목(甲木)의 솟아나는 기운이 만물에 퍼져가며
자신의 존재감을 감추며 마무리하는 단계라고 볼수 있다.
즉, 계수(癸水)는 자신의 존재를 들어내지 않으면서 주변으로 스며들어 장악하는 힘이 있다.
가장 음의 기운이 강한 글자로 심성이 여리고 감수성도 섬세하여 상대방의 말에 귀 기울일줄 알며 공감능력이 뛰어나다.
주변에 잘 스며드는 기운, 즉 유연성이 있는데, 어떤 상황에서도 잘 적응하는 힘이 있다.
하지만 주변에 스며드는 힘이지 이끄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리더로서의 역량은 다소 아쉽다.
또한, 음 기운이 강하기 때문에 상대에게 의존하려는 경향이 강하며,
우울증 같은 문제가 생길 수 있는 것이 계수(癸水)이다.
계수(癸水)의 성격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1) 장점
- 적응력이 있고, 어느 장소에서나 없는 듯 있는 듯 자기를 드러내지 않으며, 친절하고 원만하다.
- 지혜로우며 감수성이 뛰어나다.
- 합리적이고 계획적이며, 구조화된 일에서 능력을 발휘한다.
2) 단점
- 신경이 예민하고 까다로우며 우울한 생각이 많다.
- 의지력과 끈기가 약하고 적극성이 부족하다.
- 정이 많아 실속이 없고 타인에게 배신을 당하기 쉽다.
이로써 천간 10글자에 대한 모든 성격과 심리에 대해 알아보았다.
임과 계 외에 다른 천간의 심리와 성격이 궁금하면 이전 글을 참고하면 된다.
사주팔자를 볼때 천간 10글자만으로 한 사람의 성격과 심리를 보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만, 해당 글자의 기운이 강한 사주라면 그 글자의 기운과 관련된 성격과 심리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성격과 심리 이전 글 보기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셩격과 심리 #4 경금(庚金), 신금(辛金)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셩격과 심리 #4 경금(庚金), 신금(辛金) 천간 10글자 중 일곱번째와 여덟번째 글자인 경(庚)과 신(辛)의 성격과 심리에 대해 알아보자. 모두 금(金)의 기운을 가지고 있으나 경
muzin-a2z.b-logy.com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3 무토(戊土), 기토(己土)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3 무토(戊土), 기토(己土) 천간 10글자 중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글자인 무(戊)와 기(己)의 성격과 심리에 대해 알아보자. 모두 토(土)의 기운을 가지고 있으나 무(戊
muzin-a2z.b-logy.com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2 병화(丙火), 정화(丁火)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2 병화(丙火), 정화(丁火) 천간 10글자 중 세번째와 네번째 글자인 병(丙), 정(丁)의 성격과 심리에 대해 알아보자. 모두 화(火)의 기운을 가지고 있으나 병(丙)은 양
muzin-a2z.b-logy.com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1 갑목(甲木), 을목(乙木)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1 갑목(甲木), 을목(乙木) 사주명리학에서 천간(天干)에 따른 성격과 심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첫 번째 시간으로 갑(甲)과 을(乙)의 성격을 보려고 하는데, 천
muzin-a2z.b-logy.com
'사주명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셩격과 심리 #4 경금(庚金), 신금(辛金) (0) | 2023.03.19 |
---|---|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3 무토(戊土), 기토(己土) (0) | 2023.03.19 |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2 병화(丙火), 정화(丁火) (0) | 2023.03.18 |
사주명리학 기초공부: 천간(天干)의 합(合)과 극(剋) (0) | 2023.03.18 |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1 갑목(甲木), 을목(乙木) (0) | 2023.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