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4)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2 병화(丙火), 정화(丁火)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2 병화(丙火), 정화(丁火) 천간 10글자 중 세번째와 네번째 글자인 병(丙), 정(丁)의 성격과 심리에 대해 알아보자. 모두 화(火)의 기운을 가지고 있으나 병(丙)은 양(陽)의 기운을 정(丁)은 음(陰)의 기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성격과 심리를 보인다. 사주명리학, 천간(天干)에 따른 성격과 심리 #2 1. 병화(丙火) 병화(丙火)은 천간(天干)의 세 번째에 해당하는 간지이며, 음양으로는 양(陽)이고 오행으로는 화(火), 계절로는 초여름의 특성을 갖는다. 병화는 물상으로 태양으로 보는데, 태양 처럼 끊임없이 발산하려는 기질을 갖는다. 거침없이 밖으로 에너지를 쏟아내나 속이 텅빈 상태이다. 10개 천간 중 가장 양의 기운이 강하여 활발하고 진취적인 성향이 크다. ..
사주명리학 기초공부: 천간(天干)의 합(合)과 극(剋) 사주명리학 기초공부편: 천간(天干)의 합(合)과 극(剋) 사주명리학에서 천간의 10가지 기운은 서로 합(合)하기도 하고 극(剋)하기도 한다. 천간 10가지 기운은 갑을(甲乙)은 목(木), 병정(丙丁)은 화(火), 무기(戊己)는 토(土), 경신(庚辛)은 금(金), 임계(壬癸)는 수(水) 기운으로 짝을 이루며 서로 음양(陰陽)이 다른 형태이다. 합(合)과 극(剋)의 원리 합(合)은 서로 다른 음양끼리 하게되며 반대로 극(剋)은 같은 음양끼리 하게 된다. 천간(天干) 10가지 글자를 그림으로 그리면 아래와 같은데, 서로 마주보는 글자끼리 합을 이루며 각각의 글자에서 7번째 글자와 극(剋)을 이루게 된다. 즉, 갑기(甲己), 을경(乙庚), 병신(丙辛), 정임(丁壬), 무계(戊癸)가 합을 하며, 갑경(甲庚), 을..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1 갑목(甲木), 을목(乙木)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1 갑목(甲木), 을목(乙木) 사주명리학에서 천간(天干)에 따른 성격과 심리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첫 번째 시간으로 갑(甲)과 을(乙)의 성격을 보려고 하는데, 천간 10글자 중 첫 번째와 두 번째 글자에 해당한다. 모두 목(木)의 기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같은것 아닌가 싶겠지만, 갑(甲)은 양(陽)의 기운을, 을(乙)은 음(陰)의 기운을 갖고 있다. 따라서 갑목과 을목은 성격과 심리가 비슷한듯 하면서도 다르게 나타난다. 천간(天干)에 따른 성격과 심리 : 갑목(甲木), 을목(乙木) 1. 강한 추진력, 갑목(甲木) 갑목은 천간의 첫 번째에 해당하는 간지이며, 음양으로는 양이고 오행으로는 목, 계절로는 초봄의 특성을 갖는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중력을 거스르고 위로 솟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