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명리 형살 정리: 지세지형(持勢之刑), 무은지형(無恩之刑), 무례지형(無禮之刑), 자형(自刑)
사주명리 형살(刑殺) 정리 사주명리학에서 형(形)은 형살(形殺)이라고도 한다. 둘 이상의 지지 사이에 벌어지는 일, 모양을 뜻하는데 좋은 일로 작용할수도 나쁜 일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형(形)은 삼형(三形), 상형(相形), 자형(自形) 등으로 나뉘며, 삼형(三形)에는 지세지형과 무은지형 등이 있다. 대체적으로 형(形)에 대하여 불길하거나 나쁜 의미의 내용이 많지만, 전체 사주의 일부일 뿐이며, 다른 길한 기운들이 있으면 길조로 변하거나 나쁜 것들을 상쇄할 수 있다. 때문에, 자신의 사주에 형(形)이 있다고 하여 나쁘게만 판단할 필요는 없다. 형(形)이 미치는 영향이 매우 미비하기 때문에 큰 의미를 둘 필요가 없다는 명리학자들도 있다.) 지세지형(持勢之刑), 무은지형(無恩之刑), 무례지형(無禮之刑)..
천간과 지지에서 음양오행 찾기
사주명리학에 나오는 천간과 지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사주팔자는 태어난 연·월·일·시에 새겨진 천간(天干)과 지지(地支)에 음양오행과 육친 등을 분석하여 사람의 직업·적성, 성향, 운세 등을 보는 학문이라 할 수 있다. 천간(天干)은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 10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지(地支)는 자(子), 축(丑), 인(寅), 묘(卯), 진(辰), 사(巳), 오(午), 미(未), 신(申), 유(酉), 술(戌), 해(亥)로 12지로 이루어져 있다. 천간과 지지를 합쳐 간지라고 불리는데, 간지는 함께 움직이기 때문에, 간지의 총 개수는 60개이다. 예를 들어 올해가 2023년 계묘년인데, 내년에는 간지가 하나씩 이동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