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주명리학

(5)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셩격과 심리 #5 임수(壬水), 계수(癸水)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셩격과 심리 #5 임수(壬水), 계수(癸水) 천간 10글자 중 아홉번째와 열번째 글자인 임(壬)과 계(癸)의 성격과 심리에 대해 알아보자. 천간 10글자의 성격과 심리 마지막 시간으로 지난 시간과 마찬가지로 임(壬)과 계(癸)는 모두 수(水)의 기운을 가지고 있으나 양(陽)과 음(陰)의 기운을 각각 다르게 가지고 있어 다른 성격과 심리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5 임수(壬水)와 계수(癸水)의 성격과 심리 1. 임수(壬水) 임(壬)은 천간(天干)의 아홉번째에 해당하는 글자이며, 음양으로는 양(陽)이고 오행으로는 수(水), 계절로는 초겨울을 상징한다. 임수(壬水)는 물상적으로 "바다"라고 표현할 수 있는데, 신금(辛金)에서 응축되었던 기운이 임수(壬水)로 들어서면서 해체되는 형상이다. ..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3 무토(戊土), 기토(己土) 사주명리학으로 보는 심리분석 #3 무토(戊土), 기토(己土) 천간 10글자 중 다섯번째와 여섯번째 글자인 무(戊)와 기(己)의 성격과 심리에 대해 알아보자. 모두 토(土)의 기운을 가지고 있으나 무(戊)는 양(陽)의 기운을 기(己)는 음(陰)의 기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른 성격과 심리를 보인다. 특히, 계절적으로 무토(戊土)는 양(陽)을 상징하는 봄과 여름의 끝을, 기토(己土)는 음(陰)의 특성이 강한 가을과 겨울의 시작을 알리는 기운이기도 하다. #3 무토(戊土), 기토(己土)에서 나타나는 성격과 심리 1. 무토(戊土) 무(戊)는 천간(天干)의 다섯 번째에 해당하는 글자이며, 음양으로는 양(陽)이고 오행으로는 토(土), 계절로는 늦여름의 특성을 갖는다. 무토(戊土)는 넓은 대지라고 볼 수 있는데, ..
사주명리, 지지 합(合)을 방해하는 신살 해(害) 해(害)란 지지의 변화와 변동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신살인 형충파해(形沖破害) 중에 하나인데 한자의 뜻 그대로 해친다는 의미를 갖는다. 충(沖)과 형(形)보다는 영향이 적다고 보며, 사주를 볼때 참조만 하는 정도로 쓰이는 것이 해(害)이다. 해(害)는 일반적으로 해살(害殺) 또는 육합(六合)을 해친다 하여 육해(六害)라고도 불린다. 사주명리, 지지 합(合)을 방해하는 신살 해(害) 해(六害)의 종류가 자미(子未), 축오(丑午), 인사(寅巳), 묘진(卯辰), 신해(申亥), 유술(酉戌)로, 육합(六合) 자축(子丑), 인해(寅亥), 묘술(卯戌), 진유(辰酉), 사신(巳申), 오미(午未)인 것을 보면 왜 육해(六害)라 하는지 알수 있다. 즉, 육합(六合)의 한 글자가 충하는 글자를 만나 만남을 방해하는 것이다. ..
무료 만세력(사주달력) 다운로드 없이 볼수 있는 곳 만세력을 무료로 다운로드 없디 이용할 수 있는 곳을 소개하려고 한다. 사주를 공부하거나 사주를 보는 사람들에게 만세력은 필수라고 할 수 있는데, 사주달력, 역학달력, 절기력이라고도 한다. 사주명리학에서는 연월일시를 숫자로 보는 것이 아니고 육십갑자의 순환으로 본다. 예를 들어 올해, 2023년이 을묘(乙卯)년이면 다음해는 병진(丙辰)년, 정사(丁巳)년 무오(戊午)년이 되며 60갑자가 지난 2083년이 다시 을묘(乙卯)년이 된다. 무료 만세력(사주달력) 다운로드 없이 볼수 있는 곳 월도 마찬가지인데, 3월이 을묘월이라면 4월은 병진(丙辰)월, 5월은 정사(丁巳)월, 6월은 무오(戊午)월이 되며 60개월이 지나야 다시 을묘(乙卯)월이 되는 원리이다. 단, 월에서 조금 다른 부분은 사주명리학에서는 양력, 음력..
사주명리, 관계에 균열이 일어난다는 파(破) 정리 사주명리에서 파(破)란 두 지지가 서로의 작용을 파괴하며 방해하는 것을 말한다. 파가 구성되면 내적 갈등이 발생하고, 절망감이 들기 쉽다. 충이나 형보다 영향력이 적다고 알려져 있으나, 진행 중이던 일이 귀찮게 되거나 차질이 생기기도 한다. 사주명리, 관계에 균열이 일어난다는 파(破) 정리 형·충·파·해 신살 중 파(破)는 다른 3개 신살과 다르게 내부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이다. 즉, 처음에는 관계가 어느정도 형성이 되다가 어느 순간 갈등이 일어나게 된다. 연지, 월지, 일지, 시지 중 어느 곳을 파했느냐에 따라, 어떤 파(破)가 이루어졌느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 신살 파(破) 종류와 의미 파는 자신을 포함하여 양지의 경우 순행으로, 음지의 경우 역행으로 열 번째 지지를 만날 때 파(破)가 ..